매일 반복되는 설거지. 물은 계속 흐르고, 세제는 늘어나고, 시간은 쏜살같이 지나갑니다. 이 글에서는 설거지의 틀을 완전히 바꾸는 10가지 물 절약 노하우와, 실천 중심의 친환경 루틴을 소개합니다. 지금부터 물도, 시간도, 돈도 함께 아껴보세요.
“설거지 좀 했다고 수도세가 왜 이래?”라는 말, 해보셨죠?
설거지는 하루에 한 번 이상, 혹은 많게는 세 번까지 하게 되는 대표적인 집안일입니다. 아침에 사용한 그릇, 점심 도시락통, 저녁 식사 후 산더미처럼 쌓인 식기들. 그걸 치우기 위해 우리는 너무나 자연스럽게 수도꼭지를 틀고, 습관적으로 물을 흘려보냅니다. 하지만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이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물이 낭비되고 있는지 인식하지 못합니다. 한 가정에서 설거지에 사용되는 물은 하루 평균 150~200리터, 한 달이면 약 6,000리터 이상이 설거지만으로 사용됩니다. 더구나 수도꼭지를 계속 열어놓고 설거지할 경우, 1분에 약 12리터의 물이 그냥 흘러가죠. 물론 수도세도 함께 올라갑니다. 물론 "뭐, 다들 그렇게 하잖아"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, 지금처럼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시대에선 작은 습관 하나가 큰 변화를 만든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. 실제로 기후위기로 인해 해마다 반복되는 가뭄, 강제 급수 제한, 식수 오염 등의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, 우리가 가정에서 아끼는 물 한 바가지가 장기적으로는 우리 아이들의 식수, 농업용수, 환경 회복에 기여하게 됩니다. 설거지는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. 하지만, 그 방법은 바꿀 수 있습니다. 지금부터 알려드리는 설거지 물 절약 실천법은 단순한 정보가 아닙니다. 직접 해본 결과, 물 사용량이 절반 이상 줄었고, 세제 비용도 줄었으며, 설거지에 걸리는 시간까지 단축되었습니다. 이제부터 물 아끼는 설거지 루틴을 순서대로 소개합니다. 읽고 바로 오늘 저녁부터 따라 해 보세요. 내일 수도세 고지서가 기다려질지도 모릅니다!
하루 3번의 설거지를 절수 설거지로 바꾸는 방법
1. 설거지 시작 전에 ‘미리 정리’가 핵심
설거지를 시작하기 전, 식기를 분류하고 찌꺼기를 제거하는 것으로 물 절약은 시작됩니다. 기름기 많은 접시, 프라이팬, 냄비 등은 따로 빼놓고, 유리컵이나 숟가락 등 기름기 없는 것부터 먼저 씻어야 합니다. 찌꺼기는 쓰레기통에 바로 버리고, 키친타월로 한 번 닦아내기만 해도 세제를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고, 헹굼 물 사용량도 확 줄어듭니다. 2. 설거지 물 ‘받아서 쓰기’ 기본화
싱크볼 한쪽이나 대야에 따뜻한 물과 세제를 푼 뒤, 그 안에서 식기를 닦아보세요. 흐르는 물보다 훨씬 적은 물로 더 많은 식기를 세척할 수 있습니다. 헹굼 또한 따로 받은 물로 여러 개를 한꺼번에 헹구면 시간과 물을 동시에 아낄 수 있습니다. 3. 스프레이형 세제 vs 일반 세제
최근에는 ‘분사형 주방세제’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. 이 제품은 적은 양으로 넓게 퍼지기 때문에 - 세제 낭비가 줄고 - 헹굼 속도도 빨라지며 - 결과적으로 물도 덜 씁니다. 한번 분사로 접시 3~5개까지 커버 가능하니, 실용성과 절수 효과 모두에서 탁월합니다. 4. 고무 주걱 or 수세미로 먼저 긁기
설거지 전에 기름기 많은 그릇을 먼저 물에 넣기보다는 고무 주걱이나 키친타월로 한 번 ‘긁고 닦아내는’ 과정이 중요합니다. 이것만으로도 물과 세제 사용량이 각각 40% 감소된다는 실험 결과도 있습니다. 5. 물 온도는 조절하되, 습관을 만든다
기름기 많은 식기를 미지근한 물로 충분히 헹궈도, 기름이 거의 제거됩니다. 뜨거운 물은 기름기를 빨리 녹이지만, 가스비나 전기세가 오릅니다. 따라서 설거지 전 찌꺼기를 제거하고, 물 온도는 30~40도 정도로만 유지해도 충분히 깔끔한 설거지가 가능해요. 6. ‘식기 분류’는 설거지의 동선 절약
비슷한 형태끼리 모아두면 설거지할 때 덜 더러운 쪽 → 더 더러운 쪽 순서로 적은 물로 최대한 많은 그릇을 세척할 수 있어요. 예: - 컵, 유리잔 - 수저류 - 접시 - 냄비/프라이팬 7. 하루 1~2회로 몰아서 설거지
먹을 때마다 그때그때 설거지를 하게 되면, 적은 양에도 매번 물을 새로 틀게 됩니다. 반대로 한 끼 식사 후 전체 설거지를 한 번에 몰아서 하면 - 물 한 바가지로도 충분히 - 세제도 더 절약되고 - 설거지 타이밍도 짧아집니다. 8. 절수기 설치는 ‘가성비 끝판왕’
설거지용 수전에 절수형 노즐 또는 샤워형 헤드를 설치해 보세요. 평균적으로 30~50%의 물 절약이 가능하며, 설치도 어렵지 않고 비용도 5,000~10,000원 정도로 부담 없습니다. 9. 설거지 도중 수도꼭지 잠그기 습관화
수세미에 세제를 묻혀 설거지하는 동안에는 절대로 물을 계속 틀어놓지 마세요. 세척이 끝난 후에 헹굴 때만 물을 사용하면 무려 70% 이상의 물 절약 효과가 나타납니다. 10. 식기세척기 활용, 손설거지보다 나을 수도
에너지효율 1등급, 절수 인증 식기세척기의 경우 1회 작동 시 약 10~15리터의 물만 사용합니다. 손설거지보다 더 효율적일 수 있고, 기름기 많은 식기 세척에도 효과적입니다. --- 결론적으로,
설거지에서 물을 아끼는 건 단순한 절약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. 지구 환경, 수도세 절감, 나의 노동시간 절약까지 연결되기 때문입니다. 하루에 단 30리터만 아껴도, 한 달이면 900리터, 1년이면 1만 리터 이상이 절약됩니다. 이건 작은 실천 하나하나가 만든 놀라운 결과입니다. 그리고 무엇보다도, 이러한 실천은 누구나 지금 당장 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. 기술도 돈도 필요 없고, 오직 ‘의식’과 ‘습관’만 바꾸면 됩니다. 오늘 저녁 설거지를 시작하기 전에, 수도꼭지부터 한 번 잠가보세요. 그리고 오늘부터 설거지를 ‘친환경 루틴’으로 바꿔보세요. 그 변화가 내일의 지구를 바꿉니다.